SEOUL JUNGSEOK ORTHOPEDICS

허리 통증

급성 요추염좌

허리의 통증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원인

대개 외상에 기인하며 무거운 물체를 들 때 발병하는 경우부터 단지 앞으로 숙인 자세만으로도 통증이 유발되는 등 크고 작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 단순히 허리를 앞으로 구부릴 때 또는 기침이나 재채기 등에 의해 갑자기 심한 요통이 발현하기도 하고, 처음에는 통증이 그다지 심하지 않다가 서서히 증상이 심해져 결국에는 꼼짝도 못할 만큼 심한 통증을 호소하기도 합니다.

움직이면 심해지는 증상으로 보존치료를 통해 통증 완화

통증은 움직이면 더욱 심해지고 가만히 누워 있으면 경감됩니다. 하지만 누워도 편한 자세를 찾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통증은 요추부 및 요천추부에서 심하고 간혹 그 통증이 서혜부나 둔부, 대퇴부 또는 하퇴부로 방사되기도 하나, 이러한 방사통은 추간판 탈출증(주위에서 흔히 말하는 디스크)에서처럼 좌골 신경통의 양상을 보이지는 않습니다. 진찰 소견상 요추부 근육이 매우 경직되어 있고 압통이 있습니다. 정상 요추부 만곡이 소실되고 통증으로 인해 요추부 운동 제한이 심하며 구부린 자세에서 똑바로 서려면 요추부에 심한 통증이 유발됩니다. 환자의 허리가 매우 경직되어 있는 것을 촉진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통증이 매우 심할 때에는 침상 안정, 견인, 따뜻한 찜질, 초음파 치료 등의 물리치료, 마사지, 소염 진통제 복용 등으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만성 요추염좌

여러번 급성 요추염좌 경험으로 만성화 증상

급성 요추염좌로부터 생길 수도 있지만 그 정도가 급성시 보다는 덜합니다.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와 아울러 후관절의 이차적인 변화와 그 주위 조직의 변화에 기인합니다. 종종 이전에 여러 번의 급성 요통 기왕력을 가지고 있으며, 만성적 통증을 호소하고 허리의 피로감을 쉽게 느낍니다. 서거나 앉으면 통증이 심해지고 휴식을 취하면 좋아집니다. 물건을 들거나 힘든 일 하기를 꺼려하며 대개 요천 추부에 통증이 있고, 때에 따라서는 통증이 둔부나 대퇴부로 방사되기도 합니다. 몸을 뒤틀거나 구부릴 때, 물건을 들 때 심해지지만 신경학적으로 이상 증상은 없습니다.

일상생활 환경 및 습관이 중요

치료에 무엇보다 중요하게 강조되는 것은 환자의 병에 대한 이해를 높여 일상생활 환경 및 습관의 조정을 통하여 요통의 발생 및 악화를 줄이도록 노력하는 것이며, 이를 위하여 평소 생활에서 허리에 부담이 가장 적은 자세로 생활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만성 요통이 급성으로 악화될 때는 절대 안정이 도움이 되며 소염진통제, 온열치료, 물리치료 등을 병용합니다.

  • 꾸준한 운동으로 복부 근육과 배부 근육을 튼튼히
    해줌으로써 척추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요통을 없애줍니다.
  • 침대는 딱딱한 것을 사용토록 하고, 반듯이 누울 때는
    무릎을 구부리고 무릎 밑에 베개 등을 받치도록 합니다.
  • 흡연은 요통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금연을 권장합니다.
  • 물건을 들 때는 먼저 무릎을 구부려 쪼그리고 앉은 후 물건을
    몸 가까이 끌어안은 후 다리 힘으로 일어서는 것이 좋고,
    가능한 한 몸 가까이에 물건을 밀착시켜 옮기도록 합니다.
  • 장시간의 운전은 피하는 것이 좋고, 허리에 통증이 있을 때는
    계속 참고 운전하지 않도록 합니다.
  • 의자에 앉을 때는 목과 등이 일직선이 되게 하며, 허리와
    등을 의자 등받이에 밀착시킵니다.
  • 힘든 일을 하기 전에는 충분히 준비 운동을 합니다.
  • 장시간 서서 작업할 때는 발 받침대로 한쪽 발을 받칩니다.
허리 디스크

디스크가 튀어나오는 추간판 탈출증

흔히 말하는 디스크는 병의 이름이 아니라 정상적인 해부학적 구조의 하나입니다. 이 구조물에 병적인 변화가 일어나 디스크가 국소적으로 부풀거나 디스크를 둘러 싸고 있는 껍질(섬유륜)이 파열되어 내부의 디스크(수핵)이 튀어나오는데 이를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하며,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그냥 허리디스크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디스크는 척추와 척추 사이에 존재하여 탄성을 가지고 척추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 분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디스크의 수분 감소, 단백다당의 감소, 교원 섬유의 증가 등 탄성체로서의 기능이 저하되면 디스크의 높이가 낮아지고 척추 사이가 좁아져 척추의 운동을 불규칙하게 하고 불안정하게 하여 이로 인한 통증이 유발됩니다. 이러한 디스크의 퇴행성 변화는 척추의 뒤쪽 관절(후관절)과 인접 인대의 변화를 야기합니다.

주 증상은 허리통증과 방사통

30~50세 사이의 남자에 호발하고 4-5번 요추와 요추1번-천추1번 사이에 호발 합니다. 주 증상은 허리 통증과 다리 이어지는 방사통입니다. 허리 통증과 다리로 이어지는 방사통이 처음부터 함께 생기기도 하지만 허리의 통증 없이 다리의 방사통 만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진찰 소견상 몸이 한쪽으로 기울어지기도 하고 다리를 들어 올려 시행하는 하지직거상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되며 최근에는 진단을 위해 MRI 검사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술 / 비수술 치료

허리디스크(추간판 탈출증)에 의한 허리 통증과 다리로 이어지는 방사통은 대부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호전되기 때문에 그 때까지 얼마나 환자를 편안하게 지내게 하는지가 치료의 근간이 됩니다. 급성 증상이 소실되는 대로 복근 운동 등을 통한 재발의 방지도 중요하며 너무 통증이 심하여 자연적으로 좋아지기가 힘든 경우 수술로 질환의 경과를 바꿀 수도 있습니다. 비수술적인 치료로는 절대 안정, 소염 진통제, 견인, 물리치료, 도수/운동치료 등이 있습니다.

척추 분리증

보존치료를 통해 통증 완화

척추의 구조물 일부(척추 후궁 협부)에 결손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척추분리증 의 발생률은 약 6~8% 정도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여자보다 남자에서 약 2배 더 많이 발생하고 청소년기의 운동선수들에게서 발생빈도가 높습니다.대부분 임상 증상이 없지만 증상으로 나타나게 되면 허리 하부와 엉덩이 통증 및 허벅지 등에 통증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척추분리증은 치료를 요하지 않으며 통증은 약물, 물리 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 잘 치유됩니다.

척추 전방전위증

척추의 비정상적인 배열로 통증 발생

차곡차곡 이어져야 할 척추가 어긋나서 앞으로 전위되어 있는 병변으로 이러한 척추의 비정상적인 배열은 허리 통증이나 척추관 협착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성장발달 과정의 문제, 척추분리증, 퇴행성 변화가 원인이 됩니다. 성인의 척추 전방전위증 환자는 주로 허리 통증을 호소하고, 소아나 사춘기의 환자는 초기에 증상을 호소하지 않다가 성장기에 들어서면서 증상을 호소하기도 하나, 증상을 호소하지 않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환자의 상태에 따라 수술 / 비수술 치료

성인의 경도 척추 전방전위증은 운동치료, 진통소염제, 근이완제, 항우울성 약제 활동의 조절, 보조기 착용 등으로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이 되고 신경차단술 등을 시행 해볼 수 있습니다. 증상이 호전되면, 허리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운동과 자세 교정을 시행하며, 허리의 근력 강화는 등쪽 근육보다 복근 운동에 중점을 두어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방전위증이 아주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도 가능하나, 수술 전에 최소한 3~4개월 이상의 충분하고 적극적인 보존적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척추 협착증

척추 내부의 신경길이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여 발생

척추협착증은 척추 내부의 신경길이 좁아져서 신경을 압박하여 허리 통증, 다리로 이어지는 방사통, 걸을수록 심해지는 통증, 보행 장애, 배뇨 및 배변 장애 등 다양한 신경 증상을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퇴행성 척추협착증은 일회적 사건으로 발생 하지 않으며, 지속적으로 골 조직과 연부조직이 변하여 신경이 지나갈 공간이 줄어 들면서 발생합니다.

주 증상은 걸을수록 심해지는 통증

특징적인 증상은 걸으면 걸을수록 심해지는 증상이지만 심한 정도나 동반되는 증상은 환자에 따라 다양합니다. 허리의 막연하고 둔탁한 통증과 뻣뻣함이 나타 나며 대부분의 환자들은 이를 나이에 따른 자연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이고 불편을 감수하며 일상생활을 어느 정도 제한하게 됩니다. 점차 증상이 심해지면 걸을 때 주로 양측 다리의 저림, 근력 약화를 느끼며 통증은 허리와 엉덩이에서 시작하여 무릎 쪽으로 퍼져나갑니다. 앉으면 증상이 소실되기 때문에 자주 걷다가 앉거나 허리를 구부리고 쉬게 됩니다. 한 번에 걸을 수 있는 거리가 점점 짧아지고 일상적인 활동이 지장을 받게 됩니다.

보존치료를 통한 통증 완화

척추협착증 환자에서는 심각한 신경마비가 드물고 기능적 소실이 서서히 오기 때문에, 비록 심한 협착이 있더라도 신경 마비 증상이 없고 증상이 아주 심하지 않으면 안정, 약물치료, 운동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를 하는 것이 원칙 입니다.